기억력 - 뇌에 영양을!!
이너배리어 스카이메모리 영양제
COUPANG
www.coupang.com

닥터브라이언 rTG 오메가3 1200
COUPANG
www.coupang.com
61. 심장의 맥동주기 중 어느 때에 전격이 인가되면 심실세동을 일으킬 확률이 크고, 위험한가?
① 심방의 수축이 있을 때
② 심실의 수축이 있을 때
③ 심실의 수축 종료 후 심실의 휴식이 있을 때
④ 심실의 수축이 있고 심방의 휴식이 있을 때
<답> 3
62. 교류 아크 용접기의 전격방지장치에서 시동감도를 바르게 정의한 것은?
① 용접봉을 모재에 접촉시켜 아크를 발생시킬 때 전격방지 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용접기의 2차측 최대저항을 말한다.
② 안전전압(24V 이하)이 2차측 전압(85~95V)으로 얼마나 빨리 전환되는가 하는 것을 말한다.
③ 용접봉을 모재로부터 분리시킨 후 주접점이 개로 되어 용접기의 2차측 전압이 무부하 전압(25V 이하)으로 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④ 용접봉에서 아크를 발생시키고 있을 때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전격방지 장치를 작동시켜야 할지 운전을 계속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하는 민감도를 말한다.
<답> 1
63.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비례, ㉡반비례, ㉢전류의 세기, ㉣시간
② ㉠반비례, ㉡비례, ㉢전류의 세기, ㉣시간
③ ㉠비례, ㉡반비례, ㉢전압, ㉣시간
④ ㉠반비례, ㉡비례, ㉢전압, ㉣시간
<답> 1
64. 폭발 위험장소 분류 시 분진폭발위험장소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20종 장소 ② 21종 장소
③ 22종 장소 ④ 23종 장소
<답> 4
65. 분진폭발 방지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작업장 등은 분진이 퇴적하지 않는 형상으로 한다.
② 분진 취급 장치에는 유효한 집진 장치를 설치한다.
③ 분체 프로세스 장치는 밀폐화하고 누설이 없도록 한다.
④ 분진 폭발의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는 감독자를 상주시킨다.
<답> 4
66. 정전유도를 받고 있는 접지되어 있지 않는 도전성 물체에 접촉한 경우 전격을 당하게 되는데 이 때 물체에 유도된 전압 V(V)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E는 송전선의 대지전압, C1은 송전선과 물체사이의 정전용량, C2는 물체와 대지사이의 정전용량이며, 물체와 대지사이의 저항은 무시한다.)
① V=C1 / (C1 + C2) x E ② V=(C1 + C2) / C1 x E
③ V=C1 / (C1 x C2) x E ④ V=(C1 x C2) / C1 x E
<답> 1
67. 화염일주한계에 대해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화염이 발화온도로 전파될 가능성의 한계값이다.
②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틈새의 최대 간격치이다.
③ 폭발성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폭발한계내에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한계값이다.
④ 폭발성 분위기가 전기 불꽃에 의하여 화염을 일으킬 수 있는 최소의 전류값이다.
<답> 2
68. 정전기 발생의 일반적인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마찰 ② 중화
③ 박리 ④ 유동
<답> 2
69. 전기기계·기구의 조작 시 안전조치로서 사업주는 근로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전기 기계·기구로부터 폭 얼마 이상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가?
① 30cm ② 50cm
③ 70cm ④ 100cm
<답> 3
70. 가수전류(Let-go Curr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마이크 사용 중 전격으로 사망에 이른 전류
② 전격을 일으킨 전류가 교류인지 직류인지 구별할 수 없는 전류
③ 충전부로부터 인체가 자력으로 이탈할 수 있는 전류
④ 몸이 물에 젖어 전압이 낮은 데도 전격을 일으킨 전류
<답> 3
커피말고 건강한 카페인 없어???
홍삼 + 배즙 + 천연 카페인 (브라질의 인삼, 과라나)
파이어진 에너지드링크 250ml
COUPANG
www.coupang.com

71. 정전 작업 시 작업 전 안전조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단락 접지 ② 잔류 전하 방전
③ 절연 보호구 수리 ④ 검전기에 의한 정전확인
<답> 3
72. 감전사고의 방지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전기 위험부의 위험 표시
② 충전부가 노출된 부분에 절연방호구 사용
③ 충전부에 접근하여 작업하는 작업자 보호구착용
④ 사고발생 시 처리프로세스 작성 및 조치
<답> 4
73. 위험방지를 위한 전기기계·기구의 설치 시 고려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전기기계·기구의 충분한 전기적 용량 및 기계적 강도
② 전기기계·기구의 안전효율을 높이기 위한 시간 가동율
③ 습기·분진 등 사용장소의 주위 환경
④ 전기적·기계적 방호수단의 적정성
<답> 2
74. 200A의 전류가 흐르는 단상 전로의 한 선에서 누전되는 최소 전류(mA)의 기준은?
① 100 ② 200 ③ 10 ④ 20
<답> 1
* 누설전류 Ig = I/2000 = 200/2000 = 0.1A = 100mA
75. 정전기 방전에 의한 폭발로 추정되는 사고를 조사함에 있어서 필요한 조치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가연성 분위기 규명
② 사고현장의 방전흔적 조사
③ 방전에 따른 점화 가능성 평가
④ 전하발생 부위 및 축적 기구 규명
<답> 2
76. 감전쇼크에 의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 일반적으로 약 몇 분 이내에 응급처치를 개시하면 95% 정도를 소생시킬 수 있는가?
① 1분 이내 ② 3분 이내
③ 5분 이내 ④ 7분 이내
<답> 1
77. 다음 중 방폭구조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본질안전 방폭구조 ② 고압 방폭구조
③ 압력 방폭구조 ④ 내압 방폭구조
<답> 2
78. 전선의 절연 피복이 손상되어 동선이 서로 직접 접촉한 경우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절연 ② 누전 ③ 접지 ④ 단락
<답> 4
79. 이상적인 피뢰기가 가져야 할 성능으로 틀린 것은?
① 제한전압이 낮을 것
② 방전개시전압이 낮을 것
③ 뇌전류 방전능력이 적을 것
④ 속류차단을 확실하게 할 수 있을 것
<답> 3
* 피뢰기의 성능조건
1) 제한전압이 낮을 것
2) 방전개시전압이 낮을 것
3) 뇌전류 방전 능력이 클 것
4) 속류차단을 혹실하게 할 것
5) 반복동작이 가능할 것
6) 구조가 견고하고 특성이 변화하지 않을 것
7) 점검 및 보수가 간단할 것

* 속류 : 정상전류가 피뢰기를 통해서 대지로 빠져나가는 전류
* 제한전압 : 피뢰기 방전후 피뢰기에 남아 있는 충격전압
80. 인체의 전기저항이 5000Ω이고, 세동전류와 통전시간과의 관계를 I = 165 / √T mA라 할 경우,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위험 에너지는 약 몇 J인가? (단, 통전시간은 1초로 한다)
① 5 ② 30
③ 136 ④ 825
<답> 3
Q=I2RT = (165x10-3/√1)2 x 5000 x 1 =136J
COUPANG
쿠팡은 로켓배송
www.coupang.com
COUPANG
쿠팡은 로켓배송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2018.8.19. 3회) 건설안전기술 (2) | 2023.01.15 |
---|---|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2018.8.19. 3회)【5과】화학위험방지기술 (0) | 2023.01.15 |
기계위험방지기술,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2018.8.19. 3회) (0) | 2023.01.14 |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2018.8.19. 3회) 【2과】 인간공학과 시스템안전공학 (0) | 2023.01.14 |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2018.8.19. 3회) 안전관리론 (0)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