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스튜디오미르

728x90
반응형

2025년3월6일

장 전반부 전일 종가를 돌파할 때 매수했어야 하는데...수익을 내긴 했지만 좀 아쉽다.

 

2025년2월20일

어제 저녁 라디오 뉴스에 한한령(限韓令) 해제에 대한 뉴스가 나왔다. 그래서 오늘 미디오 컨텐츠 테마 종목들을 보고 있는데 에이스토리는 장 시작하자 마자 상한가로 직행하고 콘텐트리중앙도 바로 상한가 터치했다. 후발주자로 상승가능한 종목을 빨리 사야겠는데,  방송 엔터테인먼트 종목들 엔에스이엔앰, YG PLUS, 판타지오, 키이스트등도 상한가 들어갔다. 조급해진 마음에 14%, 15%를 왔다 갔다하고 있는 스튜디오미르를 잽싸게 매수했다.

 

매매타점

스튜이오미르 1분봉 차트

내가 사면 떨어진다

항상 그렇듯이 오늘도 여지없이 매수하자 예외 없다는 듯 또 떨어졌다.

하지만 오늘 한한령해제 뉴스로 인해 당분가 큰 잇슈(테마)을 이어갈 것이기 때문에 떨어져도 전혀 걱정되지 않았다.

 

역시 예상대로 오후장  늦즈막히 스튜디어미르가 오르기 시작했다. 

그런데 오르는 과정이 정말 힘겹게 올라갔다. 2시20분에서 50분 약30여분동아 윗피뢰침을 너무 많이 만들고 있었다. 다행인것은 20이평선을 깨지는 않았다는 거였지만 도저히 불안해서 지켜보고 있을수가 없었다. 그래서 조금의 수익을 챙기고 매도처리했다.

 

그러자 내가 매도하면 상승한다라는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바로 상한가로 직행해버렸다.

 

 

스튜디어미르 주가 흐름 예상

 

한한령 해제 이슈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콘텐츠 관련주들은 추가적인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다만, 단기적으로 급등한 종목들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스튜디오미르는 장중 변동성이 높고, 상승 과정에서 윗꼬리를 여러 차례 만들었던 점을 고려할 때 일정 조정 후 추가 상승 가능성이 있다.

 

1. 이동평균선 분석

  • 2024년 4월 9일 최고점 12,500원 기록 후 급락 (-74.24%).       
  • 장기 60일선, 120일선(초록색, 회색): 여전히 하락 추세이나 단기 상승 모멘텀 발생. 
  • 전체적인 하락세가 여전한 가운데 바닥다짐이 부족한 상태에서 한한령뉴스에 급등한 것인만큼 지속적인 상승을 기대하기 보다는 상승 눌림을 반복할 가능성이 커보인다.

2. 거래량 분석    

  • 이전에도 반등 구간에서 거래량 증가했으나 상승 지속 실패.     
  • 단기적으로 한한령 해제 뉴스로 강한 반등세.    
  • 추가 상승 시 5,000원 근처까지 상승 가능성, 하지만 변동성 매우 큼.   

3. 향후전망 및 매매 전략

  • 한한령 테마는 쉬이 꺼지지 않을 것으로 보임(장기간 묶여 있었기 때문에 해제에 대한 기대함이 아주 큼)
  • 하락 시  2,800원 지지선 유지 여부 체크 필요
  • 3,500원~3,800원 저항 구간 돌파 여부 중요. 
  • 단기 트레이딩으로 대응필요

 

 

한한령(한류제한령)이란?

중국에서 한국의 문화 콘텐츠와 상품에 대한 제한을 의미합니다. 한한령은 2016년 한국의 사드(THAAD) 배치 결정 이후 중국 정부가 한국 문화와 상품에 대해 취한 보복 조치로 시작되었습니다

 

 

한한령 관련 테마주는?

1. 콘텐츠 

  • 스튜디오미르: 애니메이션 및 영상 콘텐츠 제작사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고 있음
  • 에이스토리: 대표적인 드라마 제작사로, 글로벌 시장 확장 가능성
  • 콘텐트리중앙: 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배급 사업 진행
  • CJ ENM: 한국 대표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

2. 엔터테인먼트

  • YG PLUS: YG 엔터테인먼트 계열사로 콘텐츠 및 MD 사업 진행
  • SM C&C: SM 엔터테인먼트 계열사로 방송 및 콘텐츠 제작 사업 영위
  • 키이스트: 배우 및 드라마 제작 관련 사업 운영
  • 판타지오: 연예 매니지먼트 및 콘텐츠 제작 사업 운영

3. 게임 산업

한한령으로 인해 중국 시장 진출에 제약을 받았던 국내 게임사들은 해제 소식에 따라 다시금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 엔씨소프트(NCSoft): '리니지' 시리즈로 유명한 엔씨소프트는 중국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바 있습니다. 한한령 해제로 인해 중국 내 서비스 확대와 신규 게임 출시가 기대됩니다.
  • 넷마블(Netmarble): 다양한 모바일 게임을 보유한 넷마블은 중국 시장 재진출을 통해 매출 증대의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 펄어비스(Pearl Abyss): '검은사막' 등으로 글로벌 인지도를 가진 펄어비스는 중국 시장에서의 성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젠텍  (0) 2025.02.26
넥스틸  (0) 2025.02.23
대동금속  (0) 2025.02.13
한빛레이저  (0) 2025.02.07
에이엘티  (0)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