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기

부합계약이란?

iam스테파노 2024. 5. 13. 13:21
728x90

보험계약의 성질을 설명하는 내용이다.
 
보험계약은 계약당사자의 의사가 합치함으로써 성립하는 낙성계약이며, 급여를 요건으로 하는 요물계약이 아니다.
보험계약은 청약과 승낙이라는 당사자 쌍방의 의사표시의 합치만으로 성립하고, 아무런 급여를 요하지 않으므로 낙성계약이다.
보험계약은 보험자가 미리 작성한 보통보험약관에 위하여 계약을 체결하므로 부합계약의 일종이다. 
 
여기서 부합계약이란?
 
**부합계약(附合契約)**은 계약 당사자의 한쪽이 결정한 것에 대해 다른 한쪽이 사실상 그대로 따를 수밖에 없는 계약을 뜻합니다. 이는 다른 말로 **부종계약**이라고도 합니다.
당사자 일방이 계약 내용을 설정하고 계약의 상대방은 그 내용에 자신의 의사가 일치할 때 체결되는 계약으로 상대방은 계약 내용의 설정에 일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부합계약의 예를 들면, 일반인이 대기업과 체결하는 운송, 보험, 전기의 공급, 고용과 같은 계약이 부합계약에 해당합니다². 이러한 계약은 보험자나 기업 등이 안전하고 신속한 거래를 위해 정형적인 표준적인 약관을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별적인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부합의 유래

 

부합(附合)이라는 용어는 한자어에서 유래했으며, 그 뿌리는 꽤 흥미로운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어요.

🧾 어원 분석

  • (붙을 부): 어떤 것에 붙다, 더하다
  • (합할 합): 합치다, 일치하다

이 두 글자가 합쳐져 서로 맞붙어 일치한다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어요.

🏺 역사적 유래: 고대 중국의부신(符信)’

  • 고대 중국에서는 신분 확인이나 명령 전달을 위해 부신(符信)’이라는 제도를 사용했어요.
  • 나무나 금속 조각에 글자를 새긴 뒤 두 조각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사람이 보관하고,
  • 나중에 다시 만나 두 조각이 정확히 맞아떨어지면 진짜임을 확인했죠.
  • 이처럼 두 조각이 일치한다는 개념에서 부합이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