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기
착과감소과실수, 착과손해 감수과실수
iam스테파노
2024. 8. 3. 17:04
728x90
착과감소과실수
적과종료 이전 착과감소량을 산정하기 위해 착과감소과실수를 아래와 같이 산출한다.
① 종합위험
- 공식: 착과감소과실수 = 평년착과수 - 적과후착과수
- 설명: 평년착과수에서 적과후착과수를 뺀 값으로 착과감소과실수를 계산
② 종합위험 - 일부피해
- 공식: 착과감소과실수 = 최솟값(평년착과수 - 적과후착과수, 최대인정감소과실수)
- 설명: 평년착과수에서 적과후착과수를 뺀 값과 최대인정감소과실수 중 작은 값을 착과감소과실수로 선택한다.
- 최대인정 감소과실수 = 평년착과수 x 최대인정 피해율. 여기서 최대인정 피해율은 나무피해율이다.
③ 5종한정
- 공식: 착과감소과실수 = 최솟값(평년착과수 - 적과후착과수, 최대인정감소과실수)
- 설명: 평년착과수에서 적과후착과수를 뺀 값과 최대인정감소과실수 중 작은 값을 선택하여 착과감소과실수를 계산.
- 최대인정 감소과실수 = 평년착과수 x 최대인정 피해율. 여기서 최대인정 피해율은 유과타박율, 나무피해율, 낙엽인정피해율 중 가장 큰 값을 사용한다.
다시 정리하면,
재해 | 종합/특약 | 착과감소과실수 | 세부산출1 | 세부산출2 |
자조화 | 종합위험 | 평년착과수-적과후 착과수 | 적과후 착과수 = 표본주1주당 평균 착과수 x 조사대상주수 | 조사대상주수 = 실제결과주수 - (고사주수+수확불능주수+미조상주수) |
조수해, 화재-> 일부나무피해 | 종합위험 | min(평착-적착, 최대인정감소 과실수) | 최대인정감소과실수 = 평착 x 최대인정피해율 (나무 피해율) | 나무피해율 = (고사주수+수불+일부피해주수) / 실제결과주수 |
태(강),우, 지, 집, 화 | 5종한정 | min(평착-적착, 최대인정감소 과실수) | 최대인정감소과실수 = 평착 x 최대인정피해율 | 최대인정피해율: max{① 유과타박율, ② 나무피해율, ③ 낙엽인정피해율} |
착과손해 감수과실수
적과종료 이후에 "적과 종료 이전 자연재해"로 인한 적과 종료 이후 착과손해 감수량을 산정한다.
(가) 재해보험사업자는 적과 종료 이전 보상하는 손해 ‘자연재해’로 인하여 보험의 목적에 피해가 발생하고 제1항에서 정한 착과감소과실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착과손해 감수과실수를 산출한다.
① 적과후착과수가 평년착과수의 60%미만인 경우
② 적과후착과수가 평년착과수의 60%이상 100%미만인 경우
(나) 적과종료 이전 자연재해로 인한 적과 종료 이후 착과손해 감수량은 착과손해 감수과실수에 가입과중을 곱하여 산출한다.
(다) 본 감수량은 보험약관 중 2019년부터 변경된 적과전종합위험 방식에 적용하며 「5종한정특약」에 가입한 경우에는 인정하지 않는다.
손해평가사: 착과감소보험금, 과실손해보험금 공식이해 및 기출문제 풀이
손해평가사: 착과감소보험금, 과실손해보험금 공식이해 및 기출문제 풀이
1. 착과감소보험금 공식 이해하기2. 과실손해보험금 공식 이해하기3. 기출문제 풀이1. 착과감소보험금 공식이해하기 착과감소보험금 = (착-미-자)x가x보 ★ 암기코드 : 착한미자가 보상을 받는다.
3355stephan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