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안전 욕구 ② 존경의 욕구 ③ 사회적 욕구 ④ 자아실현의 욕구
<답> ④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
1. 생리적 욕구 : 식욕, 성욕, 수면, 배설, 활동
2. 안전의 욕구 : 위험 및 고통으로부터의 회피, 안정
3. 사회적 욕구 : 애정, 친화, 소속감
4. 존경의 욕구 : 승인, 존경, 지위, 명예
5. 자아실현의 욕구 : 자기 환성, 삶의 보람
이너배리어 스카이메모리 영양제
COUPANG
www.coupang.com
2. A사업장의 현황이 다음과 같을 때 이 사업장의 강도율은?
![](https://blog.kakaocdn.net/dn/buFKTD/btrURU6gzI1/Z3CSPvqjypyyrNAcavBRU1/img.gif)
① 0.22 ② 2.22 ③ 22.28 ④ 222.88
<답>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연근총시간수 x 1000
근로손실일수 = (휴업/요양/진단일수...)x(300/365) + 장애등급에 따른 근로손실일수
연근로총시간 = 근로자수x연근로시간수
근로손실일수 = 1500x(300/365) + 7500x3 + 600x5
연근로총시간 = 500x2400
따라서 강도율은 {(1500x(300/365) + 7500x3 + 600x5 ) /
500x2400 } x 1000
* 근로손실일수
1) 사망 및영구 전노동 불능(장해등급 1~3급) : 7,500일
2) 영구 일부노동 불능(4~14등급)
4등급 : 5,500일 5등급: 4,000일 6등급 : 3,000일 7등급 : 2,200일 8등급 : 1,500일 9등급 : 1,000일 10등급 : 600일 11등급 : 400일 12등급 : 200일 13등급 : 100일 14등급 : 50일
3) 일시 전노동 불능(의사의 진단에 따라 일정기간 노동에 종사할 수 없는 상해) : 휴업일수 x (300/365)
3. 보호구 자율안전확인 고시상 자율안전확인 보호구에 표시 하여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https://blog.kakaocdn.net/dn/bleRqc/btrURULWz94/wD0Gb6jMxRnHoyBlCmkyhk/img.gif)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답> ②
자율안전확인 제품 표시방법
1. 형식 또는 모델명 2. 규격 또는 등급 3. 제조자명
4. 제조번호 및 제조연월 5. 자율안전확인 번호
4. 학습지도의 형태 중 참가자에게 일정한 역할을 주어 실제적으로 연기를 시켜봄으로서 자기의 역할을 보다 확실히 인식시키는 방법은?
① 포럼(Forum) ② 심포지엄Symposium)
③ 롤 플레잉(Role playing) ④ 사례연구법(Case study method)
<답> ③
롤 플레잉(Role playing): 역할 연기법
5.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상 전로 또는 평로 등의 작업 시 사용하는 방열두건의 차광도 번호는?
<답> ②
산업안전보건법행정규칙-보호구 안전인증 고시【별표 8】방열복의 성능기준(제23조 관련)
#2~#3 : 고로강판가열로, 조괴(造塊) 등의 작업
#3~#5 : 전로 또는 평로 등의 작업
#6~#8 : 전기로의 작업
6. 산업재해의 분석 및 평가를 위하여 재해발생 건수 등의 추이에 대해 한계선을 설정하여 목표 관리를 수행하는 재해 통계 분석기법은?
① 관리도 ② 안전 T점수 ③ 파레토도 ④ 특성 요인도
<답> ①
1. 관리도: 산업재해의 분석 및 평가를 위해 재해발생 건수 등의 추이에 대해 한계선을 설정하여 목표 관리를 수행하는 재해 통계 분석기법
3. 파레토도: 관리 대상이 많은 경우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분류 항목을 큰 값에서 작은 값의 순서로 도표화 하는데 편리
4. 특성요인도 : 재해분석도구 가운데 재해발생의 유형을 어골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는 것(원인과 결과를 연계하여 상호관계를 파악)
<안전T점수>는 재해관련 통계의 종류 및 계산에 해당 -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 평가하는 방법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 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단, 그 밖에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https://blog.kakaocdn.net/dn/kLYEQ/btrURPqqZjg/OxmjEp0BUFbLy2hde6aLj0/img.gif)
① ㄱ, ㄴ, ㄷ, ㄹ ② ㄱ, ㄴ, ㄹ, ㅁ
③ ㄱ, ㄷ, ㄹ, ㅁ ④ ㄴ, ㄷ, ㄹ, ㅁ
<답> ③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1.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관리조직과 그 직무에 관한 사항
2.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3. 작업장의 안전 및 보건 관리에 관한 사항
4. 사고 조사 및 대책 수리에 관한 사항
5. 그 밖에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
8. 억측판단이 발생하는 배경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정보가 불확실할 때
② 타인의 의견에 동조할 때
③ 희망적인 관측이 있을 때
④ 과거에 성공한 경험이 있을 때
<답> ②
억측판단이 발생하는 배경
1. 정보가 불확실할 때
2. 희망적인 관측이 있을 때
3. 과거에 성공한 경험이 있을 때
4. 일을 빨리 끝내고 싶은 강한 욕구가 있거나 귀찮고 초
조할 때
9. 하인리히의 사고예방원리 5단계 중 교육 및 훈련의 개선, 인사조정, 안전관리규정 및 수칙의 개선 등을 행하는 단계는?
① 사실의 발견 ② 분석 평가 ③ 시정방법의 선정 ④ 시정책의 적용
<답> ③
● 하인리히의 사고방지 5단계
제1단계 : 안전관리의 조직(안전 목표 설정, 안전관리자 선임, 안전조직 구성)
제2단계 : 사실의 발견 (현상파악) 작업분석, 사고조사, 안전진단
제3단계 : 분석평가(사고원인 및 경향성 분석, 작업공정 분석)
제4단계 : 시정방법의 선정(교육 및 훈련의 개선, 인사조정, 안전 관리규정 및 수칙의 개선)
제5단계 : 시정책의 적용(안전교육, 안전기술, 안전독려)
10. 재해예방의 4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재해발생은 반드시 원인이 있다.
② 손실과 사고와의 관계는 필연적이다.
③ 재해는 원인을 제거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④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은 반드시 존재한다.
<답> ②
*재해예방 4원칙* 1.손실 우연의 법칙 2.원인 계기의 원칙
3.예방 가능의 원칙 4.대책 선정의 원칙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 및 명령을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것은?
①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을 초과한 사업장
②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
③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④ 상시근로자 1천명 이상인 사업장에서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답> ④
상시근로자가 1천명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직업성질병자가 3명이상 발생한 사업장.
12. 버드(Bird)의 재해분포에 따르면 20건의 경상(물적, 인적상해)사고가 발생했을 때 무상해·무사고(위험순간) 고장 발생 건수는?
① 200 ② 600 ③ 1200 ④ 12000
<답> ③
버드의 재해구성비율-1:10:30:600의 법칙
1 - 중상 또는 폐질
10 - 경상(인적, 물적 상해)
30 - 무상해사고(물적 손실 발생)
600 - 무상해, 무사고 고장(위험 순간)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거푸집 동바리의 조립 또는 해체작업 시 특별교육 내용이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① 비계의 조립순서 및 방법에 관한 사항
② 조립 해체 시의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③ 동바리의 조립방법 및 작업 절차에 관한 사항
④ 조립재료의 취급방법 및 설치기준에 관한 사항
<답> ①
거푸집 동바리의 조립 또는 해체작업 시 특별교육
1. 동바리의 조립방법 및 작업 절차에 관한 사항
2. 조립재료의 취급방법 및 설치기준에 관한 사항
3. 조립 해체 시의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4. 보호구 착용 및 점검에 관한 사항
5. 그 밖에 안전. 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다음의 안전보건표지 중 기본모형이 다른 것은?
① 위험장소 경고 ② 레이저 광선 경고
③ 방사성 물질 경고 ④ 부식성 물질 경고
<답> ④
1,2,3, 삼각형. 4 마름모
*1. 금지표시(원) : 출입금지, 보행금지, 차량통행금지, 사용금지, 탑승금지, 금연, 화기금지, 물체이동금지
*2. 경고표지
- 마름모 : 인화성물질경고, 산화성물질경고, 폭발성물질경고, 급성독성물질경고, 부식성물질경고
- 삼각형 : 방사성물질경고, 고압전기경고, 매달린물체경고, 낙하물경고, 고온경고, 저온경고, 몸균형상실경고, 레이저광선경고, 발암성.변이원성.생식독성.전신독성.호흡기 과민성 물질경고 , 위험장소경고
*3. 지시표지(원) : 보안경착용, 방진마스크착용, 보안면착용, 안전모착용, 귀마개착용, 안전화착용, 안전장갑착용, 안전복착용
15. 학습정도(Level of learning)의 4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인지 → 이해 → 지각 → 적용
② 인지 → 지각 → 이해 → 적용
③ 지각 → 이해 → 인지 → 적용
④ 지각 → 인지 → 이해 → 적용
<답> ②
학습정도(Level of Learning)
1.인지 : ~을 인지하여야 한다.
2.지각(to know) : ~을 알아야 한다.
3.이해(to understand) : ~을 이해하여야 한다.
4.적용(to apply) : ~을(~에) 적용할 줄 알아야 한다.
16. 기업 내 정형교육 중 TWI(Training Within Industry)의 교육내용이 아닌 것은?
① Job Method Training
② Job Relation Training
③ Job Instruction Training
④ Job Standardization Training
<답> ②
TWI(Train Within Industry)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업에서 하는 훈련법
1.작업방법훈련(JMT: Job Method Training): 작업개선
2.인간관계훈련(JRT: Job Relation Training): 부하통솔
3.작업지도훈련(JIT: Job Instruction Training): 작업지도, 지시
4.작업안전훈련(JST: Job Safety Training): 작업안전
17. 레빈(Lewin)의 법칙 B = f(P • E) 중 B가 의미하는 것은?
① 행동 ② 경험 ③ 환경 ④ 인간관계
<답> ①
인간의 행동(B) = 함수(f)(P(연령/경험) * E(관계/환경))
18. 재해원인을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으로 분류할 때 직접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① 물적 원인 ② 교육적 원인 ③ 정신적 원인 ④ 관리적 원인
<답> ①
* 직접원인
1)지식의 부족 2)기능의 미숙 3)태도의 불량 4)인적실수
* 간접원인(환경적인 원인)
1) 기술적 원인 2)교육적 원인 3) 신체적 원인 4) 정신적 원인 5) 관리적 원인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의 업무가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은 제외한다.)
① 업무 수행 내용의 기록
②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관리·분석을 위한 보좌 및 지도·조언
③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지도·조언
④ 작업장 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환기장치 및 국소 배기
<답> ④
"작업장 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환기장치 및 국소 배기장치 등에 관한 설비의 점"은 <<보건관리자의 업무>>
20. 헤드십(headship)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휘형태는 권위주의적이다.
② 상사의 권한 증거는 비공식적이다.
③ 상사와 부하의 관계는 지배적이다.
④ 상사와 부하의 사회적 간격은 넓다.
<답> ②
헤드십(Headship) 특징
-.부하직원의 활동을 감독
-.상사와 부하와의 관계가 종속적
-.부하와의 사회적 간격이 넓다.
-.지휘형태가 권위적 이다.
헤드십(Headship) : 집단 구성원이 아닌 외부에 의해
선출(임명)된 지도자로 권한을 행사한다.(권한 근거는 공식적)
리더십(Leadership) : 집단 구성원에 의해 내부적으로 선출된 지도자로 권한을 대행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2022.4.24. 2회) 【3과】 기계위험방지기술 (0) | 2022.12.30 |
---|---|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2022.4.24. 2회) 【2과】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0) | 2022.12.30 |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2022.3.5. 1회) 【6과목】 건설안전기술 (1) | 2022.12.28 |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2022.3.5. 1회) 【5과목】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0) | 2022.12.28 |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2022.3.5. 1회) 【4과목】 전기위험방지기술 (1) | 202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