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손해평가사: 사고일자 p5084) 생산비보장 손해조사(2) 일자 조사 (가) 사고 일자 확인 : 재해가 발생한 일자를 확인한다. ① 한해(가뭄), 폭염 및 병충해와 같이 지속되는 재해의 사고일자는 재해가 끝나는 날을 사고일자로 한다. ※ 가뭄(예) :가뭄 이후 첫 강우일의 전날 ② 재해가 끝나기 전에 조사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조사가 이루어진 날을 사고 일자로 하며, 조사 이후 해당 재해로 추가 발생한 손해는 보상하지 않는다. (나) 수확 예정 일자, 수확 개시 일자, 수확 종료 일자 확인 ① 사고 일자를 기준으로 사고 일자 전에 수확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수확 예정 일자를 확인한다. ② 사고 일자 전에 수확이 시작되었다면 최초 수확을 시작한 일자와 수확 종료(예정) 일자를 확인한다. p5362) 원예시설작물・시설재배 버섯 손.. 더보기
인스웨이브 1. 인스웨이브 어떤 회사? 기업용 소프트웨어전문 업체. 국내 최초로 웹 표준 UI/UX 개발 플랫폼 WebSquare5를 출시하는 등 UI/UX 개발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웹 표준 금융 단말 솔루션 WebTop을 다수의 금융기관에 공급하는 등 금융 단말 솔루션 사업도 영위. 이 외 서버 개발 플랫폼 사업도 영위.주요 제품 으로는 UI/UX 개발 플랫폼 사업 부문 WebSquare AI, W-Matrix, W-Craft, W-Sharing, EdgeSquare 등이 있으며, 금융 단말 솔루션 부문 WebTop, W-XTouch 등, 서버 개발 플랫폼 부문 Proworks5 등이 있음.최대주주는 어세룡 외(60.49%) 상호변경 : 인스웨이브시스템즈 -> 인스웨이브(25년4월).2. 최근 주목받.. 더보기
손해평가사: 자기부담금 자기부담금 정말 부담스럽다.정리해서 머리속에 집어 넣자 수확감소보장 - 마 양파 고 옥 감3 차 팥 콩 양배추 : 10%~40%단, 수확감소보장 수박 : 20% ~ 40%생산비보장 - 무 배 파 단 당 메 시 : 10% ~ 40%단, 생산비보장 배추(봄 가을), 무(가을), 쪽파, 실파, 양상추 : 20% ~ 40%단, 생산비보장 고추 브로콜리 : 3%, 5% 비가림시설, 원예시설, 버섯재배사 - 30만원 ≤ 손해액×10%≤100만원피복재단독사고시 : 10만원 ≤ 손해액×10%≤30만원화재특약시 자기부담금 없음해가림시설 - 10만원 ≤ 손해액×10%≤100만피복체 구조체 구분없음화재시 자기부담금 있음축사(주계약)풍재/수재/설해/지진 : MAX(지급보험금 × 자기부담금 0/5/10%, 50만원)화재시 : .. 더보기
손해평가사: 논밭작물 보상방식 정리 구분병해충재정식이앙직파불능재파종재이앙조기파종경작불능수확감소수확불능농업수입감소벼0 0 0 000 밀 00 보리 00 0귀리 00 조사료용벼 0 마늘 0 000 0양파 00 0고구마 00 0옥수수 00 0봄감자0 00 차 0 콩 00 0양배추 0 00 0수박 00 팥 00 사료용옥수수 0 * 보리는 왜 수확감소보장도 해주고 농업수입감소보장도 해 주는가?* 수확감소보장도 해주고 농업수입감소보장도 해 주는 품목과 농업수입감소 안 해주는 품목간의 차이점은?둘다 해 주는 품목 -보리, 마늘, 양파, 고구마, 옥수수, 콩, 양배추수확감소만 해주는 품목 - 벼, 밀, 귀리,.. 더보기
손해평가사: 피해율 피해율 계산 때문에 피해가 많다.정리해서 암기하자 인삼의 피해율 = (1- (수확량 ÷ 연근별기준수확량))× ( 피해면적 ÷ 재배면적)생산비보장 무,배,고,파,단,당,시,양 피해율 = 면적피해율 × 평균손해정도비율 × (1 - 미보상비율) 생산비보장 브로콜리 피해율 = 면적피해율 × 작물피해율 × (1 - 미보상비율)생산비보장 메밀 피해율 = 면적피해율 × (1 - 미보상비율)면적피해율 = 피해면적 ÷ 재배면적 재이앙(벼), 재정식(양배추), 생산비보장(노지)의 면적피해율 = 피해면적÷보험가입면적 농업수입안정보장 피해율 = (기준수입 - 실제수입) ÷기준수입실제수입=(조사수확량+미보상감수량)×Min(기준가격,수확기가격)농업수입안정보장 옥수수 피해율 = (기준수입 - 실제수입) ÷기준수입실제수입= 기준.. 더보기
마늘의 표본구간 수확량 산출시 왜 환산계수를 곱하는가? 손해평가사 공부는 외울게 많다. 무턱대고 외우기만 하면 나중에 너무 헷갈린다. 이해하면서 외우자. 표본구간 수확량 합계 = (표본구간 정상 작물 중량 + (80% 피해 작물 중량×0.2)) × (1 + 누적비대추정지수) × 환산계수 여기서 왜 환산계수를 곱하는가? 상식적으로 (누적)비대추정지수를 곱하여 마늘의 중량을 보정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는가?· 표본구간 수확량 합계 = (표본구간 정상 작물 중량 + (80% 피해 작물 중량×0.2)) × (1 + 누적비대추정지수) × 환산계수 · 환산계수는 마늘에 한하여 0.7(한지형), 0.72(난지형·홍산)를 적용· 누적비대추정지수 = 지역별 수확적기까지 잔여일수 × 일자별 비대추정지수 1. 품종별 고정 보정값 필요비대추정지수는 조사 시점부터 수확기까지의 추.. 더보기
손해평가사: 비대추정지수 - 목차 -■ 업방서 정리 ■ 기출문제 ■ 출제예상문제■ 매실 비대추정지수 표비대추정지수란 과실(매실, 마늘 등)의 수확량 조사를 수확적기 이전에 실시할 때, 남은 기간 동안 과실이 더 자랄 수 있는 정도(비대, 즉 크기와 무게의 증가)를 반영하여 실제 수확 시점의 예상 수확량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계수이다. p411수확량조사 (매실)▷ 표본주 착과 무게 = 조사 착과량 × 품종별 비대추정지수(매실) × 2(절반조사 시) p499비대추정지수양파 2.2%/1일 마늘 0.8%/1일표본구간별 작물 무게의 합계에 누적비대추정지수에 1을 더한 값(누적비대추정지수 + 1)을 곱하여 산정[단, 마늘의 경우 이 수치에 품종별 환산계수를 곱하여 산정, 품종별 환산계수:한지형 0.7 / 난지형·홍산 0.72] p651.. 더보기
시설작물별 표준생장일수 및 표준수확일수 암기하자!!!품목표준생장일수(일)표준수확일수(일)암기 비기상추30-한달 내내 냉장고에 넣어두었더니 상추가 상했어호박40-호박 사와. 시금치4030올 때 시금치도 사요오이45 (또는 75)-사오(45)라면 ... 4552??? 가지50262가지 가지 합니다. 50넘으면 이루기 힘들어요 이루기? 262??무(기타)502850넘으면 건강이 최고예요 무탈하고 기타치며 이팔(28)청춘처럼쑥갓5051쑥쑥 자라요 흰머리가 ㅋㅋ 50인데두...풋고추55-오오 풋고추 내놓고 자랑마라.. 저 밑에 홍고추는 90mm다. 쪽파601960되니 쪽팔린다 19살짜리하고.......배추7050-무(일반)80288월0일 이라는 날짜가 있는 곳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무토"에서는 8월0일이 존재한다고 한다. 이판 시비가 붙어도 0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