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4년 업무방법서 p115에 보면
(2) 보험료의 산출
(가) 과실손해보장 보통약관 적용보험료
보통약관 보험가입금액 × 지역별 보통약관 영업요율 × (1-부보장 및 한정보장 특별약관 할인율) × (1±손해율에 따른 할인·할증률) × (1-방재시설할인율)
(나) 나무손해보장 특별약관 적용보험료
특별약관 보험가입금액 × 지역별 특별약관 영업요율 × (1±손해율에 따른 할인· 할증률)
※ 손해율에 따른 할인·할증은 계약자를 기준으로 판단
※ 손해율에 따른 할인·할증폭은 –30%~+50%로 제한
※ 2개 이상의 방재시설이 있는 경우 합산하여 적용하되, 최대 할인율은 30%로 제한
※ 품목별 방재시설 할인율은 제3장 제1절 참조(pp.97-99)
이라고 나와 있다.
여기서 나무손해보장 보험료는 "가입금액x영업요율x(1 ±손해율에 따른 할인· 할증률)"로 되어 있다.
방재시설에 따른 할인율은 언급되어 있지 않는데
왜 아래에 ※ 2개 이상의 방재시설이 있는 경우 합산하여 적용하되, 최대 할인율은 30%로 제한 이라는 언급을 해 놨는가?
방재시설에 대한 할인율은 보험료 공식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데 왜 이말을 아래에 ※ 이 표시와 함께 언급해 놨을까?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문? 참다래 비가림시설의 보험가입금액 산정은 왜 시설비x면적으로 하지 않는가? (0) | 2025.02.05 |
---|---|
의문? 과실손해보장 복분자 무화과 보장기간 (0) | 2025.02.05 |
의문? 감액미경과비율, 적과후착과수의 차액보험료 (0) | 2025.02.01 |
손해평가사: 2020년 제6회 2차시험 기출문제 풀이 (0) | 2025.01.20 |
손해평가사: 경년감가율, 감가상각, 잔가율, 내용연수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