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1. 미술치료사의 역할
2. 미술치료사의 인성적 자질
3. 미술치료사의 전문적 자질
1.미술심리치료사의 역할
• 미술치료사는 미술 재료를 갖고 놀 수 있는 자이며 동시에 아동이 흥미를 갖고 미술놀이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자이다.
• 흥미가 없는 미술활동은 그야말로 노동과 같기 때문이다. 미술치료사의 역할은 아동의 성향이나 치료목표, 치료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크게 정서적 지지와 기술적 보조자의 역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정서적 지지자란 아동의 마음의 흐름에 치료자가 맞추어 나가는 것을 뜻한다. 즉 작품의 내용을 수용하면서 아동의 마음을 느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아동의 감정을 같이 느껴주는 것이 바로 ‘공감’이다.
• ‘수용’은 아동의 감정이나 행동을 받아주는 것을 말하는데 만약 그림을 통해서 한다면 시각적 표현을 언어적 표현으로 바꾸어 주는 것도 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꽃을 노란색으로 칠하면 “꽃이 노랗구나!”, 집을 크게 그리면 “아주 큰 집이네!” 정도이면 된다. 이것을 칭찬과 혼동할 수 있는데, “제일 잘 그렸다.” 등의 칭찬은 자칫 결과를 중요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면 아동은 결과에 더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기보다 칭찬받았던 표현에서 벗어나지 못할 수도 있다.
• 정서적 지지자로서의 미술치료사는 아동에게 실제생활에서도 새로운 시도를 해 볼 수 있는 힘을 주게 된다는 말이다.
•미술치료사는 기술적 보조자로서의 또 다른 역할이 필요하다. 기술적 보조자는 아동이 미술재료를 사용할 때 기술적으로 좌절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이다. 이 때 치료자는 아동이 기술적으로 능력이 부족한 상황인지, 아니면 치료자에게 습관적으로 의존하는 상태인지를 잘 관찰해야 한다.
•후자의 경우라면 아동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어야겠지만 전자의 상황이라면 “네가 원하면 oo하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어!” 하는 치료자의 수동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아동에게 도움을 거부할 기회를 주기 위해서다.
•어떠한 경우라도 치료자는 아동이 거부하면 기다려 주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이같이 치료자는 의도적으로 아동이 스스로 선택하고 표현할 수 있게끔 해야 하는데, 특히 부모의 간섭이 심한 아동은 거짓 자아(예를 들어 남에게 맞추어 주는 자아)가 발달되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대부분의 치료사는 환자를 도와 주기 위한 입장이라는 관점보다, 환자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을 치료의 결과와 성과를 향해서 가는 지도자는 될 수 있을지 몰라도 동반자는 되기 어렵다. 동반자가 되기 위해서는 생각만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자기 개인에 대한 작업, 예를 들어 치료사 자신의 억제된 감정, 불안, 분노, 수치심 등의 자기표출과 자기경험과 자기이해의 과정, 즉 ‘자기-인식’(self-awareness)의 과정이다.
1) 인성적 자질
⑴ 겸손함, 고요함, 인내심, 온화함, 성실성, 안정감, 진심에서 우러나온 행동과 열정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성품은 환자가 자신을 열 수 있는 신뢰성의 기초를 마련해준다.
⑵ 자기 자신을 존중할 수 있어야 한다. 치료사의 자기 수용과 자기 존중은 바로 타인을 존중하고 올바르게 바라보며 받아들일 수 있는 치료의 기초를 이룬다.
⑶ 자율성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은 치료의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힘이 된다. 진정한 자율성은 주도적이지 않으면서도 위기의 상황에 흔들림이 없는 능력이다.
⑷ 공감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은 자기 자신의 감정, 분노, 무력감, 두려움 등을 경험하고 작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⑸ 선입견과 편견을 가지지 않는다. 치료에 있어서 선입견과 편견은 치료의 전개와 결과를 모호하고 혼란스럽게 만드는 걸림돌이다. 선입견과 편견을 가지지 않기 위해서는 타인에 대해 개방적이고, 자신의 가치관을 초월하여 타인의 생각과 행동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⑹ 유머감각이 있어야 한다.
⑺ 직관력과 통찰력이 풍부해야 한다.
⑻ 많은 말을 삼가도록 한다.
⑼ 창의성이 있어야 한다.
⑽ 환자와 교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⑾ 비밀보장의 책임. 치료상황에서 이루어진 대화나 환자의 개인적인 문제를 유출하지 않는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2) 전문적 자질
⑴ 병의 개념과 배경을 알기 위해 정신의학에 관한 지식, 인간의 이해를 위한 인간학, 철학, 심리학, 교육학과 사회학의 지식이 필수적이다.
⑵ 미술치료의 다양한 이론적 관점, 진단 및 평가에 대한 안목이 필요하다.
⑶ 미술실기의 기초적 훈련 (매체의 사용법, 기법, 적용목적)이 이루어져야 한다.
⑷ 미학 및 미술사의 지식과 미술 활동에 대한 이해와 해석능력, 예를 들어 색과 형태에 대한 상징적 의미, 미술매체의 이해와 활용능력
⑸ 환자의 욕구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⑹ 상호관계의 훈련과 대화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
⑺ 미술치료를 위한 실습으로 자기경험과 실습에 대한 슈퍼비젼을 받아야 한다.
⑻ 미술치료사 자신도 개인치료와 집단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아야 한다.
⑼ 미술치료에 대한 계획과 평가에 대한 작업을 문서로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⑽ 치료에 대한 윤리적, 법적 책임을 알고 지켜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건강론 공부중 조현병과 우울증 차이가 궁금해서 내용 정리 해본다 (1) | 2022.12.13 |
---|---|
정신건강론 공부중 양극성 장애란 용어가 궁금해서 정리 해본다 (0) | 2022.12.13 |
아동미술교육 공부하기 1 (0) | 2022.12.12 |
갈등관리 자격증 시험 공부하기 3 (0) | 2022.12.09 |
갈등관리 자격증 시험 공부하기 2 (0) | 2022.12.09 |